반응형

2025/02 37

정묘호란: 후금의 침략과 조선의 선택

조선은 17세기 초반, 거대한 역사적 변화를 겪고 있었습니다. 명나라와 후금(청나라의 전신)의 세력 다툼 속에서 조선은 어려운 외교적 선택을 해야 했고, 결국 1627년 후금의 침공, 즉 정묘호란(丁卯胡亂)을 맞이하게 됩니다.1. 정묘호란의 배경: 요동 지역의 격변정묘호란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1) 후금의 성장과 명나라의 쇠퇴후금(後金)은 **1616년 누르하치(努爾哈赤)**가 세운 국가로, 현재 중국 동북 지방(만주)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습니다. 1619년 **사르후 전투(薩爾滸之戰)**에서 명나라를 크게 격파하며 국제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죠. 반면, 명나라는 내부적으로 부패가 심화되고 경제적 위기가 찾아오며 점점 약해지고 있었습니다.(2) 조선의 친명 정책..

역사 2025.02.11

정유재란(丁酉再亂): 임진왜란의 연장전, 그 치열했던 7년 전쟁의 후반부

1. 정유재란의 역사적 의미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년) 이후 일본이 다시 조선을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 일본군이 조선을 다시 공격한 이유는 명나라와의 평화 협상이 결렬되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한반도에 대한 야망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유재란은 임진왜란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했으며,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2. 정유재란의 배경(1) 임진왜란 이후의 상황임진왜란이 1592년에 발발한 후, 조선은 극심한 피해를 입었지만, 이순신(李舜臣)과 권율(權慄) 등의 활약으로 일본군의 북상을 저지할 수 있었다. 명나라가 조선을 지원하며 개입한 이후 전쟁의 양상이 변했고, 1593년 일본과 명나라 사..

역사 2025.02.10

기해동정(己亥東征): 조선 태종의 대마도 정벌

1. 기해동정의 역사적 의미기해동정(己亥東征)은 1419년(조선 태종 19년), 조선이 왜구(倭寇)의 근거지였던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군사 작전이다. 고려 시대부터 이어진 왜구의 침입은 한반도의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를 근절하기 위해 조선 정부는 적극적인 군사 조치를 단행하였다. 조선 태종(太宗)은 이종무(李從茂)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대규모 해군을 편성하고 대마도를 공격하였다.2. 기해동정의 배경(1) 왜구의 지속적인 침략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 걸쳐, 왜구의 활동은 극심하였다. 14세기 후반부터 왜구는 조선의 해안 지역을 습격하며 약탈과 살인을 자행했다.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은 빈번한 피해를 입었으며, 조선 정부는 해안 방어선을 강화하는 한편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였다.(2)..

역사 2025.02.09

위시캣 소원 패드 카드 바코드 만들기(Feat. 20마리 전부 작업 다함)자작

오늘은 딸아이가 좋아하는 위시 캣 패드에 들어가는 카드를 집에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인터넷을 뒤지고 뒤져 이미지를 찾아내고 그 이미지를 프린트를 하여 실물과 비교하여 사이즈를 확인했습니다.프린트된 것을 확인을 하여 사이즈를 하나씩 맞춰 보았습니다쉽지 않은 작업이었지만 한 번 해놓으면 다음번에 다시 사용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마쳤습니다.인터넷에서 찾은 이미지를 파워포인트에 오려 붙이고 사이즈를 정리하고 그렇게 해서 프린트를 했습니다. 실제 나온 이미지를 넣어 보았는데 잘 되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생각해 보니 마그넷으로 인식을 하는 부분이라 잉크가 아닌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마스킹 부분을 다시 칠했습니다이렇게 완성된 카드는 프린트를 할 때 종이 접기용 두꺼운 종이로 프린트를 해야 합니다...

딸과함께 2025.02.08

쓰시마 정벌: 고려와 조선의 대마도 원정

1. 서론: 쓰시마 정벌의 역사적 의미쓰시마(對馬島)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왜구(倭寇)의 근거지로 알려졌다. 고려 말과 조선 초, 왜구의 지속적인 침입은 한반도의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를 근절하기 위해 두 차례의 대마도 정벌이 단행되었다. 고려 말(1389년) 박위(朴葳)의 정벌과 조선 태조(1419년)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이 대표적이다.2. 쓰시마 정벌의 배경(1) 고려 시대 왜구의 침략고려 후기, 왜구는 빈번히 고려 해안을 습격하였다. 특히 14세기 후반부터 왜구의 활동이 극심해지면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의 주민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고려 정부는 이를 방어하기 위해 진포 해전(1380년)에서 최무선(崔茂宣)의 화포를 활용해 왜구를..

역사 2025.02.08

홍건적의 난: 고려를 뒤흔든 대규모 침입과 저항

1. 서론: 동아시아를 뒤흔든 홍건적의 침입홍건적(紅巾賊)의 난은 14세기 중반, 중국 원나라의 통치에 반발한 반란 세력이 고려까지 침입한 사건이다. 홍건적은 본래 원나라의 부패와 무능에 반발하여 일어난 농민 반란 세력이었지만, 점차 세력을 확대하며 고려를 침략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1359년(공민왕 8년)과 1361년(공민왕 10년) 두 차례에 걸친 침공은 고려에 큰 충격을 주었고, 이 과정에서 고려의 수도 개경이 함락되는 등 국가적 위기가 초래되었다.2. 홍건적의 난의 배경(1) 원나라의 쇠퇴와 홍건적의 등장14세기 중반, 원나라의 통치는 부패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크게 흔들리고 있었다. 이로 인해 농민과 하층민들의 불만이 폭발하면서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그중 하나가 홍건적이었다. ‘홍건적(..

역사 2025.02.07

삼별초 항쟁: 고려의 마지막 항전, 불굴의 저항군

1. 고려의 최후 저항군, 삼별초삼별초(三別抄) 항쟁은 고려 시대에 발생한 대표적인 무장 저항 운동으로, 고려가 몽골(원나라)의 침략에 항복한 이후에도 끝까지 저항했던 군사 조직의 이야기이다. 삼별초는 1270년부터 1273년까지 3년간 고려와 몽골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며, 특히 강화도, 진도, 제주도를 거치며 마지막까지 투쟁했다. 2. 삼별초 항쟁의 배경(1) 고려와 몽골의 대립고려는 1231년 몽골(당시 칭기즈 칸의 후계자인 오고타이 칸)의 1차 침략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전쟁을 겪었다. 몽골은 고려를 종속시키려 했고, 이에 고려는 강화도로 천도하여 몽골의 침략을 피하며 장기전을 벌였다. 하지만 1270년 원종(元宗)이 즉위하면서 고려는 몽골과 강화 조약을 맺고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이에 반발한 무신정..

역사 2025.02.06

살수대첩: 고구려의 기개를 드높인 역사적 대승

1. 동아시아를 뒤흔든 역사적 전투살수대첩(薩水大捷)은 612년, 고구려와 수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로, 고구려가 수나라의 대군을 상대로 거둔 결정적인 승리였다. 이 전투는 단순한 일회성 전쟁이 아니라 동아시아 역사의 흐름을 바꿨으며, 고구려의 강인한 국력과 전략적 우위를 증명하는 사례로 남아 있다.2. 살수대첩의 배경(1)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수나라는 중국을 통일한 이후,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고구려는 598년에도 수 문제(隋文帝)의 침공을 막아낸 경험이 있었고, 이후 수 양제(隋煬帝)의 치세에서도 강력한 저항을 지속했다. 이에 양제는 612년, 113만 명에 달하는 대군을 이끌고 다시 고구려를 공격했다.(2) 고구려의 방어 전략고구려는 수나라의 침공을 예상하고 철저한 대비를 ..

역사 2025.02.05

우주선 맥스큐(MAX Q): 로켓이 극한을 넘는 순간

1. 맥스큐(MAX Q)란 무엇인가?맥스큐(MAX Q)는 로켓이 상승하는 동안 공기역학적으로 가장 높은 압력을 받는 순간을 의미한다. 로켓이 지표면을 떠나 고도 10~20km 정도에 도달하면 공기의 밀도가 점점 줄어들지만, 속도는 급격히 증가한다. 이때 공기 저항(동적압력, Dynamic Pressure)이 극대화되는 시점이 바로 맥스큐다.맥스큐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로켓 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순간에 로켓이 견딜 수 있는 구조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기체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로켓 엔지니어들은 맥스큐를 고려하여 기체의 내구성을 높이고, 필요한 경우 엔진 출력을 조절하여 이 구간을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설계한다.2. 맥스큐의 물리적 원리맥스큐는 공기 저항과 속도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잡다한 정보 2025.02.04

칼바람이 분 날.

오늘은 회사에서 칼바람이 불었다. 주변에 있던 동료들이 권고 사직을 당했다. 기분이 이상하더라 하루 종일 일이 손에 안 잡히고 분위기는 뒤숭숭하고.이런 일은 처음 봤다. 오늘 6명이 한꺼번에 이 이야기를 들었다. 어제까지 같이 일하던 동료들이 하루 아침에 실업자가 되었다.더 좋은 곳에 가서 더 좋은 대우를 받으며 일을 했으면 좋겠다. 다들 더 좋은 곳으로 가길 바랍니다. 언젠간 내 차례도 오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