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진원도와 진직도의 차이점 완벽 정리
진원도와 진직도는 모두 기계 설계와 제조에서 부품의 형상 정확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형상공차입니다. 하지만 적용 대상, 공차역(허용 오차 영역), 측정 방식 등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진원도와 진직도의 주요 차이점
구분 | 진원도 | 진직도 |
---|---|---|
정의 | 원형 단면이 완전한 원에서 벗어난 정도 | 표면 또는 축선이 완전한 직선에서 벗어난 정도 |
적용 대상 | 원통, 구, 원추 등 원형 단면이 있는 부품 |
샤프트, 바, 평면 등 직선성이 중요한 부품 |
공차역(허용 오차 영역) | 두 동심원 사이의 띠(반경 차이) | 두 평행선(또는 원통) 사이의 띠 |
측정 방향 | 단면별(회전 방향) | 길이 방향(직선) |
도면 기호 | 원형 기호(○) | 직선 기호(─) |
데이텀(기준) 필요 여부 | 불필요 | 불필요 |
대표 예시 | 축, 구멍, 베어링, 원통 단면 | 샤프트, 레일, 평면, 슬라이드 |
정리
- 진원도는 “얼마나 원에 가까운가”를, 진직도는 “얼마나 직선에 가까운가”를 규정합니다.
- 진원도는 단면의 원형 정확성, 진직도는 길이 방향의 직선 정확성을 관리합니다.
- 둘 다 데이텀 없이 단독 형상공차로 표기하며, 치수공차보다 더 엄격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진원도는 원형 단면의 둥근 정도, 진직도는 직선의 곧은 정도를 규정합니다. 각각의 특성에 맞는 부품에 적용해 설계와 품질관리에 활용하세요.
반응형
'기계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메이션 공정의 세부 단계 및 조건 (1) | 2025.04.27 |
---|---|
실제 2차 전지 스태킹 장비 구성 및 유닛 설계 사례 (0) | 2025.04.26 |
스태킹 공정 중 발생 가능한 문제와 해결 사례 (0) | 2025.04.25 |
포메이션(Formation) 공정의 정의와 중요성 (0) | 2025.04.24 |
Z-Folding vs Sheet Stacking 심층 비교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