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쓰시마 정벌의 역사적 의미쓰시마(對馬島)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왜구(倭寇)의 근거지로 알려졌다. 고려 말과 조선 초, 왜구의 지속적인 침입은 한반도의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를 근절하기 위해 두 차례의 대마도 정벌이 단행되었다. 고려 말(1389년) 박위(朴葳)의 정벌과 조선 태조(1419년)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이 대표적이다.2. 쓰시마 정벌의 배경(1) 고려 시대 왜구의 침략고려 후기, 왜구는 빈번히 고려 해안을 습격하였다. 특히 14세기 후반부터 왜구의 활동이 극심해지면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의 주민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고려 정부는 이를 방어하기 위해 진포 해전(1380년)에서 최무선(崔茂宣)의 화포를 활용해 왜구를..